본 포스팅은 한국표준협회에서 주관하는 2020 산업융합형 인공지능 청년 혁신가 양성과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.
모듈 2.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서버 가상화 실습, 모크엠시스 이진호 강사님
개 요
1) 하이퍼바이저 :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체제(OS)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 (출처 : 위키백과)
2) 실습환경
- Server Box : 개인 노트북
- HOST OS : Windows 10
- Hypervisor : VM WARE Player
- GUEST OS : Linux (CentOS 7)
- APP A : tomcat
- APP B : mariaDB
- Type1 가상화 방식
1. VM ware Workstation Play 다운로드
- 설치 URL : https://www.vmware.com/kr/products/workstation-player/workstation-player-evaluation.html
- 설치된 파일을 실행하고 아래 그림과 같이 기본설정 상태에서 Next를 누른 뒤, 설치를 완료한다.
2. CentOS 7다운로드
- 설치URL : https://www.centos.org/download/
3. Vmware WorkStation(가상화 머신) 실행 및 CentOS 설치
- 학습을 위해 무료판을 사용하기에 아래 그림과 같이 체크를 하고 Finish를 눌러줍니다.
- VMwaore Workstation Player가 실행되면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합니다. 그리고 아래 그림과 같은 순서로, CentOS7 iso 파일을 불러오고 계정설정, disc size 설정을 마칩니다.
- Customize Hardware를 선택한 후, 최대 메모리, 코어 수, 네트워크 설정을 진행합니다.
- 최대 메모리 : 4GB
- 코어수 : 4코어
- 네트워크 설정 : NAT
- 다시 Finish를 누른 후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Remind me later를 클릭합니다.
- 이후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.
- LICENSING 클릭 및 동의 체크 후 Finish configuration 클릭
- 설치시 정했던 id와 password를 입력해 로그인 합니다.
- 설치완료
'old > 서버가상화 기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하이퍼바이저 기반 서버 가상화 기술(4) - mariadb 설치 (0) | 2020.05.29 |
---|---|
하이퍼바이저 기반 서버 가상화 기술(3) - Tomcat 설치 및 접속 (0) | 2020.05.28 |
하이퍼바이저 기반 서버 가상화 기술(2) - PuTTY 설치 및 CentOS 7 (Linux) 서버 연동 (0) | 2020.05.28 |